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침 공복에 바나나는 해롭다? 빈 속에 먹으면 안 좋은 음식 8가지

by 보통등기 2024. 4. 17.
반응형

아침으로 먹으면 우리 몸에 해로운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아침을 안먹는 사람이 많습니다. 아침을 먹어야 두뇌 회전에도 좋고 다이어트에도 좋다는 걸 알면서도 거르는 경우가 많죠.

 

조금이라도 먹는 게 당연히 좋을 거란 생각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바나나 등 간단한 음식을 먹는 경우가 있어요. 

 

그런데 바나나 등 몇 가지 음식은 아침에 먹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침식사로, 공복에 먹으면 유해한 음식 8가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우유

공복에 우유를 마시면 단백질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합니다. 우유 속 단백질을 열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우유 속 영양분이 체내 흡수가 어려워지고 복통이나 설사를 더 자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시리얼이나 오트밀을 우유에 말아 먹는 분들은 이게 무슨 이야기인가 싶으시죠. 시리얼을 우유와 함께 먹을 경우에는 우유가 자박하게 보일 정도로 함께 드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아예 안먹는 게 어려울 수 있으니까요.

 

 

의사들이 만든 오트밀 그래놀라 시리얼 발아 통곡물 건강 다이어트 유기농 무설탕 과자 유산균

COUPANG

www.coupang.com

( "위 링크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구매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커피

커피를 빈 속에 먹으면 안좋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죠? 공복에 카페인을 많이 마시면 위통과 헛구역질, 구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매일 모닝 커피를 아침식사 대용으로 마시는 분들은 한번쯤 경험해 보시지 않았나요? 속쓰리고 식도쪽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거요.

또한, 커피는 염증성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더 안좋습니다.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에요. 평소에 염증성 질환이 있는 분들은 적어도 공복 커피는 끊는 것을 추천합니다. 

 

3. 감

연시 많이 먹으면 변비 걸릴 수 있다는 이야기 들어보셨을 거에요. 

감에는 타닌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타닌산은 위산과 만나면 문제를 일으키는데, 사람들은 변비로 그 이상을 느끼는 거죠.

타닌산과 위산이 만나면 장운동을 둔화시킵니다. 소화가 잘 안되게 합니다. 그래서 변비 이야기까지 나오는 거죠.

이런 증상은 빈속 먹을 때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침 공복 때 감을 먹는 건 비추입니다. 

 

4. 귤

귤에는 많은 영양소가 있어요. 이 중에서 유기산, 구연산 등 다양한 산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귤의 산 성분은 위점막을 자극해 속쓰림을 일으킬 수 있어요. 그래서 위 점막에 산이 직접 닿지 않게 해야 합니다. 

그래서 빈 속에 귤을 먹지 말고 다른 음식을 조금이라도 먹은 후에 후식으로 귤을 먹어야 속쓰림 증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5. 고구마

아침에 건강식으로 고구마를 먹는 분들이 있어요. 포만감도 크고 식감도 부드러워 먹기 편한 음식입니다. 

그런데 고구마는 아교질과 타닌 성분이 있어서 위벽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위벽을 자극해 위산 분비를 촉진합니다. 이런 현상이 속 쓰림을 일으키죠.

 

6. 바나나

바나나 역시 고구마처럼 포만감과 식감이 좋아 아침 식사 대용으로 많이 먹습니다. 바나나는 아무리 먹어도 속쓰림이 없기 때문에 매우 많은 분들이 아침 공복 때 먹곤 합니다. 

그런데 바나나는 위가 아닌 다른 문제를 일으킵니다. 

바나나는 마그네슘이 풍부해서 혈정 마그네슘 농도를 높이고 심할 경우 심혈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당연히 공복에 먹으면 말이죠.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신장질환이나 저혈합환자는 공복 바나나를 조심해야 합니다.

 

7. 파인애플

우리나라 사람치고 아침부터 파인애플을 먹는 사람은 없을 거 같아요. 그런데 공복 파인애플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위벽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8. 사탕

빈속에 사탕은 단순히 치아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건 아니에요. 

사탕을 먹으면 인슐린이 과다 분대되어 혈당을 급격히 높입니다. 그래서 아침 공복에는 되도록 자제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