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래블룰 확대에 따른 업비트 출금 방식 변경 ; 개인지갑 주소 등록, 출금주소 등록 신청 알아보기

by 보통등기 2025. 2. 17.
반응형

가상자산 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규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국제적인 자금세탁 방지 규제인 "트래블룰(Travel Rule)"의 도입과 확대는 가상자산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트래블룰은 금융 범죄를 방지하고, 가상자산의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 거래소들이 고객의 거래 정보를 공유하도록 요구하는 규제이다. 이러한 규제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서 권고한 사항으로,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점진적으로 이를 도입하고 있다.

트래블룰의 개념과 확대 추세

트래블룰은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서 적용되던 정보 공유 규정을 가상자산 거래에도 적용한 개념이다. 이 규제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의 개정에 따라 한국에서도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이를 준수하기 위한 기술적, 정책적 변화를 도입하고 있다. 트래블룰의 핵심은 송금인과 수취인의 정보를 특정 기준에 맞춰 확인하고, 미신고 또는 위험성이 높은 지갑으로의 출금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금융 투명성을 높이고, 불법적인 자금 흐름을 차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비트의 새로운 출금 방식 변화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는 트래블룰을 강화하기 위해 2025년 2월 13일부터 새로운 출금 방식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변경의 주요 내용은 100만 원 미만의 디지털 자산을 출금할 때 입금처가 확인되지 않으면 출금이 제한된다는 점이다. 기존에는 비교적 자유롭게 출금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출금 주소가 업비트에서 확인된 것이거나, 트래블룰 솔루션을 통해 검증된 주소만 출금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출금을 원할 경우, 업비트에 등록된 개인 지갑 주소로 출금하거나, 별도의 출금 주소 등록 신청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출금 주소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안내 팝업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개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거나 출금 주소 등록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특히, 메타마스크와 같은 특정 지갑은 모바일 앱에서도 등록이 가능하지만, 다른 개인 지갑(예: 카이아, 팬텀, 폴카닷, 케플러)은 PC 웹에서만 등록이 가능하다.

 

출금 주소 등록 절차 및 제한 사항

업비트는 출금 주소 등록을 위한 절차를 마련했으며, 사용자는 PC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 개인지갑 주소 등록 방법
    • PC 웹: 마이페이지 > 개인지갑 주소 관리 > 관리하기 > 주소 등록
    • 모바일 앱: 입출금 > 설정 > 개인지갑 주소 관리 > 개인지갑 주소 등록
  • 출금주소 등록 신청 방법
    • PC 웹: 고객센터 > 1:1 문의하기 > 일반 > 출금주소 등록 신청
    • 모바일 앱: 더보기 > 고객센터 > 1:1 문의하기 > 일반 > 출금주소 등록 신청

업비트는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에 따라 미신고 거래소의 주소는 등록이 불가능하다고 명확히 밝혔다. 이에 따라, 쿠코인(KuCoin), 멕스씨(MEXC), 폴로닉스(Poloniex) 등 다수의 해외 거래소 주소로 출금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러한 제한 조치는 미신고 거래소를 통한 불법 자금 세탁과 금융사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향후 전망과 이용자의 대응 방안

업비트의 이번 출금 정책 변경은 트래블룰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가상자산 시장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이 커질 수도 있다. 따라서 사전에 개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출금이 필요한 경우 등록된 주소를 통해 거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미신고 거래소와의 거래를 지양하고, 공식적으로 인정된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이 향후 자산 관리 측면에서도 안정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가상자산 시장이 성숙해질수록 규제는 더욱 강화될 것이며, 사용자는 이러한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트래블룰의 확대는 가상자산 시장을 제도권 안으로 편입시키려는 움직임의 일환이며, 장기적으로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만, 거래소의 정책 변화에 따라 이용자들의 편의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피드백과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