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인야구팀에 가장 강한 타자를 3번 타순에 배치를 배치해야 하는 이유(ft. 강한 2번 타자)

by 보통등기 2024. 2. 6.
반응형

 

야구에 '강한 2번'이란 키워드가 등장한 건 이미 오래된 이야기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테이블세터와 클린업트리오로 대표되는 타순 배치 방식이 유효한 것도 사실입니다. 

 

개인적으로 강한 2번 타자 작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고, 이를 한번 더 비틀어서 강한 3번 타자를 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왜 그렇게 생각하고 타순을 짜는지 정리해보려 합니다. 

 

강한 2번 타자의 등장

MLB에서는 강한 2번 타자가 하나의 공식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에런 저지, 오타니, 하퍼, 마이크트라웃 등 팀 내 수위 타자들이 주로 2번에 배치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강한 2번 타자'라는 키워드가 널리 퍼지긴 했지만 KBO에서는 여전히 작전 수행 능력이 우선 고려되는 분위기인 점과 비교하면 MBL와는 분명 차이를 보입니다. 예전 같으면 클린업트리오 중 한 자리에 어울리는 선수를 2번에 두는 것이죠.

 

강한 2번 타자의 등장은 여러 이유가 꼽힙니다.

1. 우선 야구 전반적으로 타율이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투수의 구속 증가에 대한 반작용으로 타자들의 타율은 낮아지고 있습니다. MLB 평균 타율은 지난 20년 동안 하락해 지난해에는 2할 5푼 밑으로 떨여졌습니다. 

안타, 홈런을 예전처럼 많이 칠 수 없게 됐습니다. 테이블세터에서 클린업트리오까지 5타자가 한 번의 공격을 이어가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 것이죠. 예를 들어, 1번 타자가 출루를 하더라도 4번 타자까지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늘었고, 따라서 4번에 수위 타자를 두는 작전은 효과가 반감되게 된 것입니다. 

2번 타자에게 작전을 걸어 다음 타순으로 기회를 이어주는 역할을 부여하는 건 예전보다 비효율적이 된 것입니다.

2. 무사 1루 vs 1사 2루 ; 통계적으로 무사 1루 상황에서 득점할 수 있는 확률은 44%라고 합니다. 1사 2루 상황에서는 41%이고요. 2번 타자가 희생번트로 1루 주자를 진루시키면 득점 확률이 낮아지게 됩니다. 참 아이러니 한 통계입니다. 


이 같은 세이버 메트릭스를 접목한 해석이 가능해지면서 강한 2번 타자의 필요성은 그 근거를 더욱 확실히 얻게 되었습니다. 

 

3. 세 번째 이유는 타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무사 상황에서 타석에 서는 것과 1 아웃 또는 2 아웃 상황에서 타석에 들어가는 것 중 어느 때의 득점 확률이 높을까요? 당연히 무사 1루에서의 득점확률이 가장 높습니다. 1사 1루, 2사 2루보다 높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득점 확률을 좀 더 높이기 위한 작전으로 1루 주자를 한 베이서 전진시키려는 것보다, 2번 타자에게 양질의 타구를 생산토록 하는 게 유리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이해가 되실지 모르겠네요.

 

 

 

현대 야구의 타순 배치는 '강한 2번 이론의 진화'이다 ; 클린업 트리오, 9번 타자 변화

현대 야구의 타순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야구가 투수 놀음이라고 하는데, 결국 점수를 내야 이기는 운동입니다. 그래서 타순 배치가 중요합니다. 타율이나 세이버매트릭스 같은 지표들로만 타

1stian.tistory.com

 

사회인야구 4부에서 '강한 3번' 어떨까?

팀마다 팀 컬러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작전이든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사회인야구 4부 정도의 수준이라면 잘하는 선수 많이야 3~4명과 그 뒤를 받쳐주는 5~6명의 선수들로 구성돼 있습니다. (물론 모두 잘하는 선수로 구성된 팀도 있고, 그 반대인 경우도 있겠지만요.)

 

사회인야구 4부에서는 타율 5할이 넘는 선수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만약 5할 타자가 팀에 1명이 있다면 대부분 클린업에 배치가 되는데, 저는 수위 타자를 2번 또는 3번 타순에 넣어야 한다고 봅니다. 수위 타자에게 가장 많은 기회를 주어야 하고 그 기회를 통해 타점 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죠. 

 

잘 친다고 무조건 4번에 두면 1회에는 타석에 올라기지도 못하고 이닝 종료될 수 있습니다. 만약 수위 타자를 전진 배치하면 첫 이닝에 한 타자라도 더 타석에 들어갈 확률이 높아집니다. 득점뿐만 아니라 팀원들에게 타석 기회를 더 주기 위해서라도 '강한 2번' 작전이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꼭 2번이어야 하는가는 의문입니다. 3번에 배치해 2득점을 기대하는 것도 방법이니까요. 확률을 구체적으로 따지면 2번 배치할 때보다 득점 확률이 낮아질 수는 있을 거 같습니다. 그래도 다득점을 노린다는 점이  좋은 작전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강한 3번 배치를 통해 수위타자가 투수의 공과 모션을 조금이라도 더 관찰 및 분석할 기회를 주는 것도 눈곱만큼의 장점이 있을 거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강한 2번 타자의 등장과 원인, 그리고 사회인야구에서 이를 어떻게 접목시키면 좋을지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